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사직서 양식 다운로드 주의사항

퇴직 이후 회사와 근로자 간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를 대비해 퇴직시에는 사직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직서 양식과 작성방법, 사직 시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볼게요. 사직서 양식 다운로드 사직서 기재내용 및 작성방법 인적 사항 소속/직위 사직 희망일 사직 사유 서명이나 도장 사직 사유는 구구절절 길게 적는 것보다, 최대한 간단히 적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이나 '일신상 사유' 라고 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퇴직사유가 회사측 문제인 경우 개인적 사유가 아니라 회사측에 문제가 생겨 사직을 하는 경우는,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그 사유를 정확히 기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월급이 밀렸다거나, 월급이 삭감되어 퇴직하는 경우 내용을 그대로 써주시면 됩니다. 권고사직인 경..

직장, 취업 2023. 8. 18. 16:07
2024년 최저임금 최저월급 주휴수당

최저임금위원회는 2024년 최저임금을 2023년보다 240원 인상된 9,86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전년도에 비해 인상률은 2.5%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역대 최장의 심의를 거쳐서 2024년 최저임금을 발표했지만, 발표 후에 노동계는 아쉽다는 반응입니다. 최저시급은 재계와 노동계의 합의를 통해 결정되는데, 재계는 인상폭을 최대한 낮추려고 하고 노동계는 인상폭을 높이려고 하는 입장차를 보였습니다. 노동계는 몇 년째 시급이 9천 원대에 머무르는 것을 지적하며 1만 원 이상의 시급을 제시하였지만, 재계는 경제적 어려움과 자영업자들과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주장하며 최저임금 동결을 주장하였습니다. 2024년 최저시급을 논의하기 시작할 때부터 재계는 동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고, 노동계는 기존 시급에 26.9%를..

직장, 취업 2023. 8. 14. 23:05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필요서류

퇴직을 하지 않아도 법에서 정한 요건을 만족하면 퇴직금을 중간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중간 정산 가능 사유와 필요한 서류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제도란? 법적으로 인정되는 사유에 해당될 경우 퇴사를 하지 않아도 퇴직금 중간 정산 제도에 의해 퇴직금을 중간에 정산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은 4주 평균 주 15시간 이상일하고 총 1년 이상 근무했을 때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씩 1년 이상 일한 경우 정직원이 아니어도 아르바이트생이어도 누구나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간 정산을 받기 위해서는 법적인 사유를 충족해야 합니다. 퇴직금 중간정산 가능 사유 법적으로 인정되는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9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근로자가 무..

직장, 취업 2023. 8. 14. 14:59
연차수당 지급기준과 계산방법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면, 연차수당으로 보상받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연차수당의 개념과 연차수당의 지급 시기, 계산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차수당이란? 연차수당이란 근로자가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 수당으로 보상받는 것입니다. 연차수당 계산은 평균임금 또는 통상임금으로 계산하여 지급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통상임금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하지 못한 연차휴가가 10일이라면, 총 10일분의 통상임금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연차휴가 자동계산기 연차수당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연차휴가수당 연차휴가수당은 연차휴가 사용일에 대해 유급으로 지급해야 하는 임금을 말합니다. 이 경우, 하루를 쉬어도 하루분의 임금을 받게 됩니다. 임금 지급일 당시의 임금을 기준으로 산..

직장, 취업 2023. 8. 5. 16:32
근로계약서 미작성 벌금 신고 방법

근로계약서는 근로자와 사용자 간에 근로계약 내용이 담긴 문서로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어야 할 내용, 작성 시 주의할 점, 미작성 시 벌금과 불이익, 신고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 벌금 근로기준법에 의해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일반적으로 계약서 미작성 최초 고발 시에는 30~40만 원, 두 번 위반 시 60~80만 원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근로 계약서 미작성은 1명을 1건으로 보기 때문에, 여러 명의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면 인원수만큼 벌금을 내야 합니다. 또한 근로계약서는 3년 동안 보관해야 하는 의무가 있어서, 이를 위반 시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계약서를 작성 후 변경사항이 있다면, 반드시..

직장, 취업 2023. 8. 5. 15:57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yvirus@naver.com | 운영자 : Yoon Hye Young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