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업을 시작하려 할 때에는 반드시 사업자 신고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업자 유형 선택부터 방법까지 어려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업자 유형 선택에 따라 신고해야 할 세금의 횟수가 달라지며, 각 유형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므로, 잘 아시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사업자등록증 발급방법, 유형선택 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자 등록 기한
사업자 등록은 사업 개시 이전에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기를 놓쳐 개시 전에 하지 못했다면 사업개시일을 기준으로 20일 이내에 진행을 하셔야 합니다. 기한을 놓칠 경우 세금 신고 시에 다양한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업자 유형
간이과세자
신규사업자 및 연매출액 8천만 원 미만이 대상입니다. 간이과세자는 개인사업자 중에서도 부가세 관련 혜택이 적용되는 유형입니다. 간이과세자는 부가세가 10%가 아닌 1.5~4%가 부과되며, 부가세 신고도 연 1회만 하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매입세액공제가 적용되지 않으며, 매출세액보다 매입세액이 많은 경우 환급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연매출액이 4,800만 원 미만이면 세금계산서 발행이 불가하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일반과세자
연매출액 8천만 원 이상 및 간이사업자 적용 배제 업종이 대상입니다. 부가세 신고는 매년 1월과 7월 2회에 걸쳐해야 합니다. 일반과세자는 부가세율이 10% 적용되는 대신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매입세액공제를 잘 챙기면 환급을 받거나 부가세 절세가 가능합니다. 단, 세금계산서 발급이 의무이며, 미발급 시에는 다양한 가산세가 부과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사업자등록증 발급 시 준비 서류
- 사업자등록 신청서
- 동업 계약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허가/등록/신고증 사본
사업자등록증 발급을 위해서는 사업자등록 신청서가 필수이며, 다른 서류들은 해당하는 경우에만 제출하면 됩니다. 방문신청 시에는 세무서에 신청서가 비치되어 있으며, 온라인 발급 시에는 정보 입력으로 가능합니다.
사업자등록증 발급 방법
방문 신청
직접 방문으로 신청하실 경우 소재지의 관할 세무서에 필요한 서류를 가지고 방문하시면 됩니다.
온라인신청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 신청 및 정정 할 수 있습니다.
사업을 시작하면 세금 관련 궁금증이 많아지실 텐데요. 이럴 때 네이버 엑스퍼트를 이용하면 저렴하고 편리하게 세무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 발급기간과 발급 방법
소득금액증명원 발급기간과 다양한 발급방법(홈페이지, 앱, 무인발급기, 방문) 안내
정보24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기간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점 및 부가가치세 납부기간, 납부횟수 등 총정리
정보24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시 구비서류, 발급방법 (직접방문, 무인발급기, 온라인발급) 총정리
정보24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상위계층 조건 혜택 (0) | 2023.08.14 |
---|---|
2023년 기준중위소득 (50% 100% 120% 150% 180%) (0) | 2023.08.14 |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발급 (0) | 2023.07.21 |
무순위 청약 줍줍 조건 (0) | 2023.07.19 |
청약 당해지역 인근지역이란? (0) | 2023.07.19 |